
요금 인상의 배경서울 지하철은 1974년 개통 당시 기본 요금이 30원이었으나, 2012년에는 1,050원으로 약 35배 상승했다(). 이후 2015년 6월 요금 인상(1,250원)을 마지막으로 약 8년간 동결되었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는 막대한 재정 적자와 노후 시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금 인상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공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연간 적자는 약 5,173억 원, 누적 부채는 7조 원에 달하며, 2028년에는 10조 원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무임승차(주로 고령자 대상)로 인한 손실이 연평균 3,190억 원으로, 전체 적자의 42%를 차지한다(). 이는 고령화로 인해 무임승차 인원이 증가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또한, 서울 지하철의 노후화 문제는 안전과 직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