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란은 유럽 현지의 명품 부티크들과 직접 계약을 맺고, 부가세와 관세를 제외한 현지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하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명품 구매 기회를 제공해왔습니다. 이러한 유통 구조 혁신과 IT 기술의 결합은 발란을 경쟁사인 트렌비, 머스트잇과 함께 국내 명품 플랫폼 1세대 기업으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해외 여행과 면세점 이용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발란은 보복 소비 트렌드를 타고 급성장했습니다. 2022년에는 월
거래액 911억 원,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664만 명을 돌파하며 글로벌 럭셔리 플랫폼 중 상위권에 오르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배우 김혜수를 모델로 기용한 공격적인 마케팅과 당일 배송 서비스("오늘 발란"), 최저가 비교 기능 등 소비자 친화적인 서비스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가품 논란과 신뢰도 문제발란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플랫폼의 신뢰도를 흔드는 가품 논란은 지속적인 이슈로 남아 있습니다. 2022년 10월, 발란에서 판매된 '스투시 후드집업'이 가품으로 판결받은 사례가 매일경제에 보도되며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경쟁 플랫폼 크림에서 검수받은 결과, 태그의 시리얼 넘버 불일치로 가품임이 확인되었습니다. 발란은 가품 유통 시 200% 보상 정책을 내세우며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이는 소비자 신뢰 하락을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발란은 개인 판매자들이 입점해 상품을 판매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본사에서 전수 검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가품 유통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명품 구매의 핵심인 정품 보증에 대한 소비자 불안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재무 건전성과 적자 문제발란의 재무 상태 역시 주요 이슈 중 하나입니다. 2023년 조선비즈 보도에 따르면, 발란은 매출이 71% 증가했음에도 영업손실이 약 100억 원에 달하며 적자 폭이 2배로 늘어났습니다. 2015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적자 운영은 발란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했습니다. 코로나 특수로 몸집을 키웠던 명품 플랫폼들이 팬데믹 이후 수요 감소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익성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발란은 광고비 축소와 운영
효율화를 통해 2023년 흑자 전환을 목표로 했으나, 이러한 목표가 달성되지 않으며 재무적 압박이 가중되었습니다. 2024년 10월 조선비즈 단독 보도에서는 발란의 기업가치가 직전 3000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급감했다고 전해졌으며, 이는 회사의 생존을 위한 자금 유치 노력의 일환이었습니다.2025년 정산 지연 사태가장 최근이자 가장 심각한 이슈는 2025년 3월 발생한 정산 지연 사태입니다. 연합뉴스와 SBS Biz 보도에 따르면, 발란은 3월 24일 일부 입점사에 대한 정산을 연기한다고 공지하며 정산금 과다 지급 오류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약속한 3월 28일까지 정산 일정을 재공지하지 못했고, 최형록 대표는 입점사들에 사과문을 보내 "이번 주 안에 실행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란의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졌고, 일부 입점사는 고객들에게 반품을 요청하거나 플랫폼에서 철수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X 플랫폼에서는 발란의 기업회생 신청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2023년 실리콘투로부터 75억 원을 투자받았음에도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과거 티몬과 위메프의 미정산 사태를 연상시키며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불안감을 키웠습니다.결론과 전망발란은 혁신적인 유통 구조와 기술력으로 명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지만, 가품 논란, 재무 건전성 문제, 그리고 최근의 정산 지연 사태로 신뢰와 지속 가능성에 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과 편리함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정품 보증과 안정적인 서비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입점사들 역시 정산 지연으로 운영에 타격을 입으며 발란과의 협업을 재고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발란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투명한 커뮤니케이션과 재무 구조 개선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향후 발란의 행보는 국내 명품 플랫폼 시장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알고리즘은 어떻게 추천해주는걸까?? (1) | 2025.03.29 |
---|---|
설리 리얼 이슈: 논란과 영향력 (4) | 2025.03.29 |
미얀마 규모7.7지진발생! (2) | 2025.03.28 |
김수현 ‘첩’ 이슈의 진실은? 루머와 사실 분석 (4) | 2025.03.27 |
임영웅 펜트하우스 압류 세금체납의진실은? (6)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