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되는이야기

엘지,삼성 건조기 에러코드/자가수리방법 소개!!

IT문 2025. 4. 23. 17:33

안녕하세요!

다들 건조기를 많이들사용하시는데요!

혹시 에러코드가 뜨거나할때 as를 부르지않고도 해결할수있는방법이 있어서 소개를 해드릴게요!!!

 

건조기를 사용하다 보면 디스플레이에 알 수 없는 숫자나 영문 조합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른바 ‘에러 코드’인데, 이는 건조기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에러 코드는 제조사별로 다르며, 고장이 아닌 일시적인 오류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에러 중 하나는 E1 또는 tE입니다. 이는 온도 센서에 문제가 있다는 뜻으로,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오작동할 경우 발생합니다. 이럴 땐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고, 그래도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점검을 요청해야 합니다.

LE는 모터 관련 에러입니다. 이 경우, 과도한 세탁물 양으로 인해 모터에 무리가 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건조기를 멈춘 뒤, 일부 세탁물을 빼내고 다시 작동시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DE는 도어(door) 에러로,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았거나 도어 센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나타납니다. 문이 제대로 닫혔는지 확인하고, 도어 틈에 이물질이 낀 것은 아닌지 살펴보세요.

 

또한 CL은 ‘Child Lock’ 상태를 의미하며 고장이 아니라 기능입니다. 버튼을 일정 시간 길게 누르면 잠금이 해제됩니다.

HE 또는 HC는 히터 관련 오류입니다. 내부 히터가 과열됐거나 고장이 나면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이 에러가 표시됩니다. 필터에 먼지가 쌓인 경우도 있으니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FE는 과수분 감지, CE는 전류 이상, OE는 배수 오류 등을 의미하며, 각각에 맞는 조치를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건조기는 사용 설명서에 에러 코드별 설명과 해결 방법이 기재돼 있으니, 반드시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에러가 반복된다면 내부 부품의 교체나 점검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자가조치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정식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정기적인 필터 청소와 통풍구 점검은 건조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에러 발생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